강아지 딸꾹질하는 이유(원인, 대처, 멈추게 하는 법)
반려견을 키우시는 분이라면 우리 강아지가 처음 딸꾹질을 할 때 많이 놀라실 텐데요.
저 역시 그랬습니다. 사람이 하는 딸꾹질과는 다르게 몸이 심하게 요동치더라구요.
처음엔 뭐 어디 장기가 내려앉은 것처럼 소리도 크고 해서 많이 놀랐던 기억이 있네요.
이처럼 처음 반려견의 딸꾹질을 보신다면 많이 놀라실 텐데요.
특히, 새끼강아지 시절에는 딸꾹질을 조금 더 자주 할 수 있습니다.
딸꾹질 자체는 자연스러운 생리현상입니다.
하지만, 지속시간이 너무 길거나 딸꾹질을 하는 빈도가 잦다면 건강이 안 좋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.
아래 내용 참고하셔서 강아지가 딸꾹질을 할 때 잘 대처할 수 있으시면 좋겠습니다.
강아지의 딸꾹질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.
그 이유와 어떻게 대처해서 멈추게 하는지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.
강아지 딸꾹질
딸꾹질은 횡격막이 비정상적으로 수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증상입니다.
횡격막에 어떤 자극이 생기면서 불수의적으로 특정소리를 냅니다.
강아지 딸꾹질하는 이유
* 음식을 급하게 먹었을 때
강아지가 사료나 물 등을 급하게 먹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.
음식물이나 물을 급하게 먹으면서 다량의 공기가 위나 폐로 넘어가게 될 수도 있습니다.
이로 인해서 횡격막의 신경을 자극하게 되고 딸꾹질이 발생하게 됩니다.
평소 식욕이 왕성하고 급하게 밥을 먹는 반려견이라면 적은 양을 나눠서 주시길 권합니다.
* 체온의 변화
체온이 급격하게 낮아지며 딸꾹질을 할 수도 있습니다.
요즘 같은 추운 날씨에 집에 있다가 산책을 나가게 되면 딸꾹질을 할 수도 있습니다.
보통 이러한 경우에는 딸꾹질이 금방 멈춥니다.
그래도 미리 예방하고자 하신다면 산책 전 창문이나 문을 살짝 열어 낮은 기온을 미리 체감하게 해 주세요.
* 새끼강아지
태어난 지 6개월 미만의 강아지들은 횡격막과 그 주변 근육과 신경이 완벽히 발달되지 않습니다.
그래서 성견에 비해 딸꾹질이 잦은 편입니다.
새끼강아지가 딸꾹질을 하는 것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.
* 약물
스테로이드,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약물을 복용한다면 딸꾹질이 잦을 수 있습니다.
위액이 과도하게 분비되면서 역류하기 때문인데요.
위액이 식도와 위에 자극을 가해서 딸꾹질이 나올 수 있습니다.
약을 먹을 때마다 딸꾹질을 한다면 구토방지제를 같이 복용하는 게 좋겠습니다.
* 감정의 변화
놀라거나 지나치게 흥분을 하거나 공포를 느낄 때 딸꾹질이 나타나기도 합니다.
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딸꾹질을 하게 됩니다.
* 임신
강아지가 임신을 하면 태아가 자라며 배가 부풀게 됩니다.
이러한 과정에서 횡격막을 자극해 딸꾹질이 잦을 수도 있습니다.
* 건강 악화
위 이유들과 관계없이 계속 딸꾹질을 자주 한다면 건강상 적신호를 보내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.
췌장염, 신장암, 간암 등 늑막과 횡격막의 신경에 자극을 주면 만성적으로 딸꾹질을 하게 됩니다.
하루에 3번 이상 딸꾹질을 하거나 10분 이상 지속된다면 동물병원에 내원하시길 권합니다.
정밀검사를 해서 질병 유무를 꼭 체크하는 게 좋겠습니다.
강아지 딸꾹질 멈추는 법
딸꾹질은 미주신경을 자극함으로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.
혀 안쪽에 설탕을 콕 발라주시는 방법이 있습니다.
또, 혀를 살짝 잡아당기거나 눈가를 부드럽게 마사지해서 미주신경을 자극해 주세요.
배를 보이도록 눕히고 가슴에서 배 쪽으로 쓰다듬듯 마사지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
딸꾹질의 원인과 멈추는 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강아지들은 말을 하지 못합니다.
그렇기 때문에 건강상 적신호를 보내면 보호자들이 꼭 눈치를 채야합니다.
딸꾹질도 지속시간이 길고 빈도가 잦으면 건강상 적신호일 수 있습니다.
그냥 넘어가지 마시고 꼭 빈도와 시간 등을 체크한다면 좋을 거 같습니다.
'Do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아지가 똥을 먹어요(강아지 식분증 원인 교정 예방) (0) | 2024.01.22 |
---|---|
개꿈 강아지꿈 강아지 나오는 꿈 개 나오는 꿈 해몽 (0) | 2024.01.21 |
강아지 췌장염의 원인(대처방법,증상,치료,예방) (0) | 2024.01.16 |
강아지 사과 먹어도 될까? (적정 급여량, 사과껍질, 사과씨, 급여 시 주의사항) (0) | 2024.01.14 |
강아지 계란 먹어도 될까? (흰자, 노른자, 삶은계란, 날계란, 급여 시 주의사항), 비오틴결핍증?? (0) | 2024.01.14 |